[영화] Patch Adams, 1998 2011-01-03 영화를 보게 되는 계기는 여러가지다. 광고나 지인의 권유로 극장에서 보게 되는 경우도 있고 OCN과 그 아류 채널을 돌리다가 우연히도 '언제 한번은 봐야하는데' 했던 영화의 첫부분을 만났을 때, G market에서 물건을 사면 박스에 동봉되어 날아오는 웹하드 쿠폰을 정성스레 모아두었다가 .. 책·영화 세상 2012.12.10
팔레스타인-조 사코 2006-05-14 Palestine - Joe Sacco NeoCon이 미국을 통해 전세계를 통치한 21세기의 역사는 아직도 진행형이다. 아우슈비츠의 고통에는 눈물을 흘려도 독립운동가나 광주의 학살을 이해하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존재하는 것을 보면 유대인의 정치, 문화계의 장악력은 역시 대단하다. 독일 CeBIT 전시.. 책·영화 세상 2012.11.27
'나를 깨워라'-내일을 여는 역사 2005-11-21 상상해보자. 1905년 출생 일제 강점기에 청장년을 보내고 해방 그리고 곧 6.25 이승만, 4.19, 5.16, 유신... 그리고 광주 죽음 우리 주변, 아니 우리의 부모 세대 혹은 그 조금 위 세대가 모두 거쳐온 지옥과 같은 이 나라의 20세기이다. '나를 깨워라'는 계간 '내일을 여는 역사'의 '인물 바로 보기.. 책·영화 세상 2012.11.26
Onze minutes - Paulo Coeloho 2005-11-10 코엘료의 소설은 이게 두번째이다. 연금술사가 던진 감동에 힘입어 어느샌가 쥔장이 사다놓은 '11분'을 들게 되었다. 성과 사랑에 대한 깊은 성찰은 코엘료 답지 않다기 보다는 코엘료가 어떤 작가인지를 더욱 가늠하게 되는 경험이었다. 가끔씩 흥분(?)을 감출 수 없는 섬세한(?) 성행위 .. 책·영화 세상 2012.11.26
시지프 신화 - 알베르 카뮈 2005-02-13 읽어 보고는 싶지만 '감히' 읽을 수 없는 많은 책들이 있다. 시지프 신화도 그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읽었다. 그러나 읽은 것과 이해는 다르다. 후- 우선 실존주의 철학자이자 작가로 알려진 카뮈를 알기 위해 실존주의가 무엇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 *실존주의 -.. 책·영화 세상 2012.11.26
끝나지 않은 시다의 노래 by 양이 2005-01-26 끝나지 않은 시다의 노래 전순옥 | 한겨레신문사 | 2004년 02월 '1970년대 한국여성노동운동에 대한 새로운 자리매김' 이것이 이 책의 부제이다. 전태일의 여동생이고 이소선여사의 딸이기도 한 그녀가 영국 유학시절 2001년에 워릭대학에 쓴 논문으로 이 논문은 그 해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 책·영화 세상 2012.11.26
[로마인이야기12] 위기로 치닫는 제국 2004-05-10 12권에서 다룬 로마는 3세기이다. 211년부터 284년에 이르는 73년의 과정 속에 22명의 황제가 바뀌었다. 심지어 보름간 지위를 지키다 살해당한 황제도 있다. 나나미 이외에 많은 후세 역사가들은 다음과 같이 3세기 로마의 위기 원인을 지적하고 있다. - 제국 지도자층의 질적 수준 저하 - 야.. 책·영화 세상 2012.11.19
<by 소> 관계 - 슬픔과 기쁨의 근원 : 신영복 님 관계 - 슬픔과 기쁨의 근원 저와 같이 있던 사람 중에 가난한 가족들을 먹여 살리던 젊은이가 있었어요. 이 친구는 하루 벌이가 쌀값과 연탄값이 못되면 가족들이 기다리고 있는 집으로 들어가질 못했어요. 그 날 밤은 제일 값싼 합숙소에서 자고 새벽 일찍 서울대병원에 가서 피.. 책·영화 세상 2012.01.06
<By 소>청구회 추억 - 신영복 님 2003-09-25 청구회 추억 -------------------------------------------------------------------------------- 1966년 이른 봄철 서울대학교 문학회의 초대를 받고 회원 20여 명과 함께 서오릉으로 한나절의 답청(踏靑)놀이에 섞이게 되었다. 불광동 시내버스 종점에서 서오릉까지는 걸어서 약 한 시간 길이다. 우리는 .. 책·영화 세상 2012.01.06
[조화로운 삶]-느끼는 두려움.... 2003-09-23 니어링 부부의 '조화로운 삶'은 매우 유명한 책이다. 미국의 30년대 대공황 시절 도시 생활의 황폐함에 종지부를 찍고 자급 자족할 수 있는 '조화로운 삶'을 위해 시골에 내려간 이 부부의 모험(?)담이다. 지금 거의 몇장을 읽은 수준인데...좀 실망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이 남한이.. 책·영화 세상 2012.01.06